Windows 10 (Win 8.1) 에서 Visual Basic 6(VB6) 설치 방법
비주얼 스튜디오 6 (1998), VS6(VC6, Visual C++ 6, Cpp6) install in Windows 8.1
0. 비주얼 스튜디오 6은 임의의 폴더에, 설치CD를 복사한 후, Setup.exe를 실행해서 설치한다
1. 파일 속성 변경
Setup.exe -> 속성 -> 호환성 탭
-> 호환모드 : Windows XP (서비스 팩 3) 선택
-> 설정 : 관리자 권한으로 이 프로그램 실행 체크
//============
2. Microsoft Virtual Machine For Java 설치 하지 않기(단계 뛰어 넘기, skip)
- 방법1 : 추천
VS6 Install\IE4\ 폴더를 삭제하거나 이름 변경
//===============
- 방법2 : 비추
- C:\Windows 와 C:\Windows\System32 폴더에 msjava.dll 파일을 생성한다
- 관리자 권한 으로 다음 명령 실행
copy nul C:\Windows\msjava.dll
copy nul C:\Windows\system32\msjava.dll
//============
3. 설치 구성요소 선택
- Visual C++ 6.0 관련된 항목은 모두 설치 하도록 설정한다
유니코드 라이브러리가 설치되지 않아 생기는 문제 방지 cannot open file "mfc42ud.lib"
- '데이터 액세스' 는 체크 해제
- 안하면 나중에 '시스템을 변경하는 중입니다' 에서 멈춤
//====================
// 아래의 과정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. 에러가 나는 경우에 필요
- 옵션(필요한 경우)
4. 설치후 MSDEV.exe 실행 에러 문제 해결
- 파일 백업 : 비등록 라이센스 메시지 피하기 위해
This product is licensed to:
Unregisterd
Unauthorized copy
C:\Program Files (x86)\Microsoft Visual Studio\Common\MSDev98\Bin\MSDEV.exe
- VS6 service pack 6폴더에서 VS6sp61.cab 압축 해제후
.\Vs6sp6\VS6sp61\Common\msdev98\bin 폴더를 다음으로 복사
C:\Program Files (x86)\Microsoft Visual Studio\Common\MSDev98\Bin
- 백업한 msdev.exe 파일 다시 원래 폴더로 복사
- 다음 파일들 속성변경
속성 -> 호환성 탭
-> 호환모드 : Windows 8 선택
-> 설정 : 관리자 권한으로 이 프로그램 실행 체크
msdev.exe - Enterprise
msdevP.exe - Professional
msdevS.exe - Standard
- 파일이름이 msdev.exe 이면 에러 발생 -> 이름 변경
- msdevP.exe -> msdevP-org.exe
- msdev.exe -> msdevP.exe
- .dsw 확장명을 msdevP.exe에 연결
//========================
* 에러 발생
administrator privileges required for ole remote procedure call debugging
visual studio 6 debug error unhandled exception in ole32.dll
- 해결 방법
Visual Studio 6 -> Option -> Debug 탭 -> Debug command invoke Edit and Continue : 체크 해제
- administrator privileges 관련 에러가 계속되면 msdev.exe 파일 설정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으로 설정
'Code > Deskt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xplorer++ 컴파일 (4) | 2015.05.16 |
---|---|
디버깅 심볼 다운로드 방법 (0) | 2015.05.15 |
윈도우 10 에 Visual Studio 6 설치 방법 (9) | 2015.05.13 |
Windows 8.1 , Visual Studio 2013 버전별 기능 비교(다운로드) (1) | 2015.05.01 |
Java와 C언어(WinAPI) 연결 (0) | 2015.04.20 |
파이썬(Python) 기본 정보 (2) | 2015.03.22 |
댓글을 달아 주세요
어객 2017.01.28 20:54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덕분이 태블릿에 비베6 잘 설치되었습니다 ㅅㅅ
'데이터 엑세스' 체크해제....
고맙습니다
새해 복많이 받으세요~
여니 2017.06.18 13:44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안녕하세요..
저도 윈도우 10에서 설치가 안되서 블로그에 들어오게 됐는데..
위 방법으로 해도 계속 시스템을 변경하는 중입니다.에서 멈추네요..
혹시 한번 봐주실 수 있나요..?
정말 죄송합니다..
가능하시면, 이메일이나 번호 남겨주시면 연락 드리겠습니다...
'설치 구성요소' 선택에서
- '데이터 액세스' 항목을 체크 해제 하셨는지만 잘 확인하시고요
안되시면 비밀글로 이메일 주소를 알려주세요.
감사감사 2017.07.12 09:41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감사합니다.
2017년에 아직도 VB가 쓰일줄이야..
jhkim 2017.09.28 16:44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진짜 진짜 고맙습니다. 비베가 설치되지않아서(시스템을 변경하는 중입니다에서 계속 멈춤) 3일동안 고생했는데 여기서 님의 글을 읽고서 한방에 오케이~~~ 진짜 감사합니다. 이메일이나 전번 부탁드립니다. 제가 사는 곳에서 가까운데 계시면 식사라도 한끼 사고 싶습니다.
2017.09.28 16:46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비밀댓글입니다
bkahn 2018.07.26 10:58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정말 감사드립니다.
와윈10디버깅 2018.08.30 09:58 댓글주소 수정/삭제 댓글쓰기
윈도우10에서 Break point 걸고 F5 디버깅 모드 진입 시
"User breakpoint called from code at 0x77368079" (메모리 주소는 매번 바뀜)
약 10번중에 3~4번은 디버깅모드에 잘 진입하고, 6~7번은 디버깅 진입도 못하고 저런 alert가 뜨면서
디버깅모드를 빠져나오는대요
이런증상은 없으세요?
이건 어떻게 해결할 수가 없네요..
글쎄요 전 문제 없이 쓰고 있는데요
간단한 소스라면, 프로젝트 파일을 보내주시면, 실행해 보고 결과를 알려드릴께요